레 공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공황은 1522년부터 1527년까지 재위한 베트남 후 레 왕조의 황제이다. 권신 막당중에 의해 소종이 폐위된 후 옹립되었으나, 막등용의 전횡 속에 1527년 막당중에게 선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살해되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막등용은 정수를 죽이고 려의를 유폐하는 등 권력을 강화했으며, 공황은 막당중에게 선양을 강요받아 후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고 막 왕조가 성립되었다. 그는 성종의 증손자이며 소종의 동복 동생으로, 사후 황제의 예로 화양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7년 사망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1527년 사망 - 카지미어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
호엔촐레른 왕가 프랑켄계 분가 출신인 카지미어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은 쿨름바흐 통치자로서 아버지에 반발하여 쿠데타를 일으키고 슈바벤 전쟁과 독일 농민 전쟁에 참전했으며, 독일 농민 전쟁 진압 과정에서 '블러드하운드'라는 악명을 얻었다. - 1507년 출생 - 사토미 요시타카
사토미 요시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부친의 사망 후 가독을 상속받아 호조 가문과 대립하며 간토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하다가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퇴 후 사망했다. - 1507년 출생 - 알탄 칸
알탄 칸은 16세기 몽골의 지배자로서 투메트부를 다스리고 명나라와 교역을 시도하다 베이징을 공격하고 화의를 맺었으며, 티베트 불교를 몽골에 부흥시키고 후허하오터를 건설하는 등 몽골의 종교적,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 폐위된 베트남의 황제 - 바오다이
바오다이는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자 베트남국의 국가주석으로, 프랑스의 보호 아래 즉위했으나 일본의 지원으로 독립을 선포하고 퇴위 후 다시 프랑스의 지원으로 국가주석이 되었지만 결국 망명하여 생을 마감하여 그의 통치 기간과 행적은 베트남 역사에서 논쟁적이다. - 폐위된 베트남의 황제 - 주이떤 황제
응우옌 왕조의 제11대 황제인 주이떤 황제는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독립운동을 펼치다 유배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하여 비시 프랑스에 저항했고, 사후 그의 애국심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도로가 조성되었다.
레 공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 꿍 황 (Lê Cung Hoàng) |
전체 이름 | 레 쑤언 (Lê Xuân) |
다른 이름 | 레 르 (Lê Lự) |
칭호 | 대월의 황제 |
왕조 | 레 왕조 |
아버지 | 레 명종 |
어머니 | 찐 티 로안 |
배우자 | 응우옌 황후 |
생애 | |
출생일 | 1507년 9월 2일 |
사망일 | 1527년 7월 12일 (19세) |
통치 | |
즉위 | 1522년 |
폐위 | 1527년 |
이전 통치자 | 레 찌에우 ᆼ |
다음 통치자 | 레 짱 òng |
묘호 | 없음 |
시호 | 꿍 황제 (Cung Hoàng đế) |
능묘 | 화양릉 (華陽陵) |
연호 | 통응우옌 (Thống Nguyên) |
연호별 기간 | |
통응우옌 | 1522년 ~ 1527년 |
2. 생애
레 공황은 경강왕黎漴|레 공중국어과 鄭氏鸞|정씨란중국어의 아들이자 성종의 증손이며, 소종의 동복 동생이다.[1] 1522년 소종이 막등용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몽산에 칩거하자, 막등용은 소종이 간신에게 꾀임을 당했다며 소종의 동생인 레 공황을 옹립했다. 1527년 막당중에게 양위하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살해되었다.[1]
2. 1. 옹립과 즉위
1522년, 권신 막당중이 소종의 폐위를 선포하고 공황을 옹립하였다.[1]1527년, 막당중에게 양위하였고, 얼마 안가 살해되었다.[1] 공황은 경강왕黎漴|레 공중국어과 鄭氏鸞|정씨란중국어의 아들로, 성종의 증손자이며, 소종의 동복 동생이다.[1] 광소 7년(1522년), 소종은 전권을 휘두르는 인국공 막등용에게 불만을 품고, 일부 조정 신하들과 함께 선서의 명의현에 있는 몽산에 칩거하였다.[2] 이에 서도성에 있던 鄭綏|정수중국어도 소종의 막등용 토벌 명령에 응했다. 그러자 막등용은 소종이 측근의 간신에게 꾀임을 당했다며, 소종과 동행하지 않은 동복 동생 레춘(공황)을 황제로 옹립하고[3][4], 소종을 타양왕으로 강등시켰다. 공황은 양문후Nguyễn Thị Hưng|응우옌 티 흥vi의 딸(막등용의 아내인 Nguyễn Thị Ngọc Tuyền|응우옌 티 응옥 투옌vi의 언니)을 황후로 삼았다.[1]
막등용은 공황을 옹립한 후, 통원 3년(1524년)에 산동후 막궐(막등용의 동생)・경계후 무호・양천후 무여계에게 서도성을 공격하게 하여 정수를 전사시키고, 소종을 사로잡아 승룡에 유폐시켰다. 정수의 사후, 뚜렷한 반대자가 없어진 막등용은 통원 5년 12월 8일(1527년1월 9일)에 패계백 범금방에게 소종을 살해하게 하고, 이듬해 통원 6년 4월 16일(1527년5월 15일)에는 동각대학사의 개원백 완문태에게 조서를 기안하게 하여 공황에게도 선양을 강요했다.[2][3][5] 이로써 후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고, 막조가 성립되었다. 양위 후의 레춘(공황)은 공왕으로 강봉되어 서내궁에 유폐되었고, 명덕 원년 6월 15일(1527년7월 12일)에 어머니 정씨란과 함께 자결을 강요받았다.[1]
사후, 황제의 예로 御天縣|어천현중국어(현재의 흥하현 Hưng Nhân (huyện)|흥년 시진vi)에 있는 화양릉에 안장되었다.
2. 2. 막당중의 전횡과 폐위
1522년, 권신 막당중이 소종의 폐위를 선포하고 공황을 옹립하였다.[1]1527년, 막당중에게 양위하였고, 얼마 안가 살해되었다.[1]
광소 7년(1522년), 소종은 전권을 휘두르는 인국공 막등용에게 불만을 품고, 일부 조정 신하들과 함께 선서의 명의현에 있는 몽산에 칩거하였다.[2] 이에 막등용은 소종이 측근의 간신에게 꾀임을 당했다며, 소종과 동행하지 않은 동복 동생 려춘(黎椿)을 황제로 옹립하고,[3][4] 소종을 타양왕으로 강등시켰다.
공황을 옹립한 막등용은 1524년에 동생 막궐과 무호, 무여계에게 서도성을 공격하게 하여 정수를 전사시키고, 려의를 사로잡아 승룡에 유폐시켰다. 뚜렷한 반대자가 없어진 막등용은 1527년 1월 9일 패계백 범금방에게 려의를 살해하게 하고, 1527년 5월 15일에는 공황에게도 선양을 강요했다.[2][3][5]。 이에 후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고, 막조가 성립되었다. 양위 후의 려춘은 공왕으로 강봉되어 서내궁에 유폐되었고, 1527년 7월 12일에 어머니 정씨란과 함께 자결을 강요받았다.[1]
2. 3. 죽음과 평가
1527년, 막당중에게 양위하였고, 얼마 안가 살해되었다. 소종의 동복 동생이다.[1]1522년 소종이 막등용에게 불만을 품고 선서 몽산에 칩거하자,[2] 막등용은 소종이 간신에게 꾀임을 당했다며 소종 대신 黎椿(레 공황)을 황제로 옹립했다.[3][4]
막등용은 1524년에 서도성을 공격하여 소종을 사로잡아 승룡에 유폐시켰다. 통원 5년 12월 8일(1527년 1월 9일) 黎椅(소종)를 살해하고, 통원 6년 4월 16일(1527년 5월 15일) 공황에게도 선양을 강요했다.[2][3][5] 이로써 후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고, 막조가 성립되었다. 양위 후 공왕으로 강봉되어 유폐되었고, 명덕 원년 6월 15일(1527년 7월 12일) 어머니와 함께 자결을 강요받았다.[1]
사후, 황제의 예로 御天縣중국어(현재의 흥하현 Hưng Nhân (huyện)vi)에 있는 화양릉에 안장되었다.
3. 가계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레떤(여빈)
- 조모 : 찐 티 뚜옌(정씨선)
- 부친 : 레숭(여충)
- 모친 : 찐 티 로안(정씨란)
3. 2. 후비
레 공황은 두 명의 귀비를 두었다.이름 | 성씨 |
---|---|
귀비(貴妃) | 완씨(阮氏) |
귀비(貴妃) | 도씨(陶氏) |
4. 연호
공황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
서력(西曆) | 1522년 | 1523년 | 1524년 | 1525년 | 1526년 | 1527년 |
간지(干支)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연호(年號) | 통원(統元)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참조
[1]
서적
大越史記全書
[2]
논문
[3]
논문
[4]
서적
ベトナム史略
[5]
웹사이트
莫登庸
2020-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